[MySQL] SQL SELF JOIN & DATE type format
·
IT, Digital
SELF JOIN & DATE type format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SQL 문제 사이트인 리트코드에서 https://leetcode.com/problems/rising-temperature/ 요문제를 풀어보자.  SELF JOIN에 대한 다른 포스팅은 여기로 가면 된다. [MySQL] SELF JOIN에 대해 알아보자목차   MySQL SELF 조인이란MySQL을 공부하며 제일 헷갈리는게 조인인데 (left join, right join, inner join 등등등) SELF JOIN이라는 놈도 있다ㅋㅋ SELF JOIN이란 무엇인가 . .  쉽게 말하면 자기 자신을 조인하quiseol.com   얘가 요구하는걸 보면, 전날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를 가진 아이디를 뽑아라이다.  Weather tab..
[MySQL] SELF JOIN에 대해 알아보자
·
IT, Digital
MySQL SELF 조인이란MySQL을 공부하며 제일 헷갈리는게 조인인데 (left join, right join, inner join 등등등) SELF JOIN이라는 놈도 있다ㅋㅋ SELF JOIN이란 무엇인가 . .  쉽게 말하면 자기 자신을 조인하는 놈이다. 여기서 생기는 의문  자기 자신을 조인이요?다음 표를 이용해서 self join의 예를 들어보겟슴 MySQL SELF 조인 예시 TABLE AID이름연봉관리해야되는 놈 ID1김셀프500032김조인400043김이너3000NULL4김롸잇5000NULL 여기서 ID 1은 ID3을, ID2는 ID4를 관리하고 있다. 이 때 관리하는 놈보다 관리 당하는 놈이 돈을 더 잘 버는 경우를 구하려면 워떻게 해야될까 . ?  이럴 땐 테이블을 새롭게 만들어서 '..
[MySQL] 소수점 처리 하는 방법
·
IT, Digital
해커랭크에 이런 문제가 있는데, 해석을 하면 버림한 걸 구라하라는 말이다. 반올림이 아닌 버림 ㅇㅋㅋㅋ MySQL에서 소수점 처리를 어떻게 하는가.. 라운드는 봤는데요? 버림은 초면이네요? 아무튼 소수점 처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자대가리 긁적이는중 . . . MySQL 소수점 버림(내림) 방법소수점 버림을 하는 방법은 바로바로 FLOOR를 쓰면 된다.고로, 본 문제의 답은SELECT FLOOR(AVG(POPULATION))FROM CITY  MySQL 소수점 올림 및 반올림 방법올림 따로 반올림 따로 하기엔 칸이 너무 허해서 한번에 쓰렵니다. 올림은 CEIL()함수를 쓰면 된다. CEILING에서 나왔다고 한다. 반 올림은 ROUND()함수를 쓰면 된다. ROUNDING에서 나왔다는 건 직감적으..
텍스트 파일 기본 설정 방법 30초 컷
·
IT, Digital
텍스트 파일 기본 앱 설정 즈는 텍스트 파일을 열때 sublime text를 쓰는데 매번 열때마다 기본설정이 안 먹힙니다. 위와 같은 게 나오고 상시적으로 적용이 아니라 한번만 이질1헐을 하는거임. 매번 한번만, 한번만요. 하다가 예라이 하다가 방법을 알아냈다. 이걸 보는 사람들도 매번 지발 한번만요.. 이러지말고 단 두 스텝의 설정으로 윈도우로부터 애초부터 아갈닫게 만들어보자. 텍스트 파일 기본 설정 방법 1) 윈도우 검색에 들어가 기본앱 ㄱㄱ 한다음 주우우우욱 내리면 '파일 유형별 기본값 선택'이라는 것이 나온다. 저거  클릭하면 제일 위에 '파일 유형 검색'이 나오는데 거기에.2) txt를 누르면 기본으로 설정 가능한 것들이 나온다. 그럼 이제 원하는 확장자를 누르면 된다. 하지만 나처럼 저것을 설..
[MySQL] AVG함수 NULL 포함 안 되는 거 해결 방법
·
IT, Digital
이제부터 다음 표 처럼 SQL 테이블에 null 값이 있으면 우리는 주의를 해야된다. 왜냐 문제가 아닌 문제가 생기기 때문ㅋㅋ 문제라고 안뜨는게 더 무서운 거 아시죤?  AVG함수 NULL 포함 안 되는 거 해결법 IDNUMName142A232B3NULLV SELECT COUNT(*) NAME FROM table; -- 결과 : 3SELECT COUNT(NUM) NAME FROM table; -- 결과 : 2  위에 테이블이 있다고 했을 때 다음과 같이 SQL을 작성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왜 이런 차이가 생기냐면 NULL 값을 안 세기 때문이다. COUNT와 같이 AVG도 역시 NULL값을 먹금하기 때문에, SELECT AVG(NUM)을 하면 (42+32+0)/3 이 아니라 (42+32)/2 를 하게..